'제2의 김예슬' 서울대 채상원씨 "싸워 주인 되겠다"

입력 2010. 3. 31. 13:33 수정 2010. 3. 31. 13: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박혜경 기자]대학 교육을 비판하는 대학생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지난 10일 대학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자퇴한 고려대 김예슬씨에 이어 29일 서울대 채상원(사회과학대학 08학번)씨가 대학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내용의 대자보를 붙였다.

채씨는 29일 오후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건물 앞에 붙인 '오늘 나는 대학을 거부한다, 아니 싸움을 시작한다'는 제목의 대자보에서 "대학이란 곳은 본격적인 무한경쟁의 닫힌 공간일 뿐, 우리에게 어떤 삶의 의미도 방향도 가르쳐주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는 대학이 "무조건 일렬로 줄 세우는 것을 멈추지 않"으며 "별 고민 없이 수십 년간 사용해온 커리큘럼을 답습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어 "낡고 답답한 대학에 우리의 미래가 있을까"라고 되물으며 "대안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야 하는 사람은 바로 우리 대학생들"이라고 주장했다.

대학을 '자격증 장사 브로커'로 보며 학교를 떠난 김예슬씨와는 달리 학교에 남아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것이다.

채씨는 "격변의 시기,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으면서 우리를 구속하는 대학 내의 모든 구습과 싸워야 한다"며 "대학생들이 병든 대학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스스로 대학의 주인으로 거듭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힘을 합쳐 (대학과 자본의 거대한) 탑을 흔들고 우리들의 새로운 탑을 세우자"고 덧붙였다.

"김예슬·채상원 보며, 내 삶을 돌아보게 됐다"

지난 11일 오후 서울시 성북구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후문에 자발적 퇴교를 앞둔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씨의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는 제목의 대자보가 붙어있자 지나가던 학생들이 발길을 멈추고 글을 읽고 있다.

ⓒ 유성호

이런 채씨의 대자보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전해지자 이를 지지하는 누리꾼들의 응원 메시지가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트위터 아이디 good***)은 "채상원 학생의 용기 있는 싸움에 박수를 보냅니다"라는 글을 남겼고 이 글을 리트윗한 다른 누리꾼(트위터 아이디 ywa***) 역시 "(세상 불의에 저항하는) 이런 학생들이 많이 생겼으면…"이란 메시지를 남겼다.

자신의 블로그에 '김예슬보다 제2의 김예슬 채상원을 지지한다'는 제목의 글을 올린 누리꾼(너돌*)은 "김예슬 양이나 채상원 군이나 평범한 삶을 생각하는 보통 젊은이는 아닐 것"이라면서도 대학사회의 변화를 위해서는 "대학을 나가는 방법보다 앞에 놓인 거대한 탑을 반대하는 모든 돌멩이들이 똘똘 뭉쳐서 새로운 탑을 요구하는 방법이 옳다고 본다"는 글로 채씨의 결정을 지지했다.

김씨와 채씨의 대자보를 보고 자신을 돌아보게 됐다는 누리꾼들의 글 또한 더해지고 있다. 트위터 아이디 aga***의 누리꾼은 "김예슬, 채상원씨를 보면서 다시금 (자신의 삶을) 돌아 보게 된다"며 "무엇을 바라고 이 자리에서 다람쥐 쳇바퀴 돌듯 똑같은 삶을 살고 있는 것일까"라고 자문하는 내용을 남겼다.

dlia***란 아이디(트위터)의 누리꾼 역시 "직장인들은 뭘 하고 있을까… 돈과 사회적 지위의 노예가 되어 하루하루 다람쥐 쳇바퀴 돌듯 그게 최선이라고 합리화하며…"라는 내용의 고민이 담긴 글을 남겨놓았다.

"이 대학에 우리가 상상한 대학생활이 있는가"

지난 11일 오후 서울시 성북구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후문에 자발적 퇴교를 앞둔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씨의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는 제목의 대자보가 붙어있자 지나가던 학생들이 발길을 멈추고 글을 읽고 있다.

ⓒ 유성호

연이은 대학생들의 용기 있는 발언이 대학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 울림을 만드는 모습니다. 다음은 채씨가 올린 대자보 전문이다.

오늘, 나는 대학을 거부한다. 아니, 싸움을 시작한다."이것은 나의 이야기이지만 나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나는 25년 동안 경주마처럼 길고 긴 트랙을 질주해왔다. 우수한 경주마로, 함께 트랙을 질주하는 무수한 친구들을 제치고 넘어뜨린 것을 기뻐하면서. 나를 앞질러 달려가는 친구들 때문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소위 '명문대입학'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이 또한 나의 적이지만 나만의 적은 아닐 것이다.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임을 마주하고 있다. 대학은 글로벌 자본과 대기업에 가장 효율적으로 '부품'을 제공하는 하청업체가 되어 내 이마에 바코드를 새긴다. 국가는 다시 대학의 하청업체가 되어, 의무교육이라는 이름으로 12년간 규격화된 인간제품을 만들어 올려 보낸다."

대학 거부를 선택한 고려대 김예슬씨의 자보 中얼마 전 고려대학교 김예슬 씨의 자퇴선언이 있었다. 혹자는 부적응자의 현실도피라 말하지만, 문제는 적응하지 못하는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도 적응할 수 없는 현실의 구조 그 자체에 있다. 대학 거부라는 방법을 선택하지 않는 우리들도 잦은 회의감에 휩싸이며 때로는 현실에 타협하기도 하고 때로는 방황하기도 하며 살고 있지 않은가.

우리는 초등학교 때부터 12년간 어른들이 우리에게 심어준 대학교에 들어가면 누릴 수 있다는 '자유', '낭만' 따위에 대한 환상을 가슴에 품고 묵묵히 내 친구를 밟고 올라서기 위해 노력해왔다. 간신히 그 과정을 거쳐 대학교에 들어온 지금, 나는 우리가 어린 시절 가졌던 대학생활에 대한 환상은 그저 '환상'에 불과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오히려 대학이란 곳은 본격적 무한경쟁의 닫힌 공간일 뿐이며 그 공간은 우리에게 그 어떤 삶의 의미도, 방향도 가르쳐주지 않는다. 제2전공 의무화, 영어강의 확대, 상대평가제 등의 제도는 더욱 많은 것을 강요하고 무조건 일렬로 줄을 세우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 전 세계를 강타한 경제위기를 그 어떤 주류 경제학도 설명하지 못하고 패닉에 빠진 마당에 대학은 별 고민 없이 지난 수 십 년간 사용해온 커리큘럼을 답습하고 있다.

이렇게 낡고 답답한 대학에 우리의 미래가 있을까? 무한경쟁의 쳇바퀴에서 오로지 앞만 보고 달려가지만 제자리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듯한 불안감, 가만히 있으면 남들에게 뒤쳐지는 것만 같은 불안감을 강요하는 이 대학에 우리가 상상한 대학생활이 있는가?

이 물음에 답해야 하는 사람, 대안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내야 하는 사람은 대학 교수님도, 정치인도 아니다. 바로 우리 대학생들이다. 우리의 삶을 그들에게 내맡길 수는 없다. 이에 나는 오늘 조용히 다짐을 해보려 한다. 자발적 퇴교와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그러면서도 지금의 대학을 거부하기로. 대학의 주인이 되어 대학의 변화를 주도하기 위한 싸움을 벌이기로.

세상은 이미 변화의 물결을 타기 시작했다. 보수적 인사들이 아무리 사회주의적 발상이다, 포퓰리즘이다 해도 우리 국민 대다수는 이제 무상급식이 아주 상식적인 정책이고 필요한 정책임을 느끼고 있다. 체벌 금지, 보충수업 선택권 보장 등이 포함된 경기도의 학생인권조례가 입법예고 됨으로써 학생들의 인권이 충분히 보장되는 길로 나아가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즈는 이미 2007년에 "더 이상 세상은 평평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이제는 세계화의 시대가 아닌 지역화의 시대라는 의미이다. 또한 자유무역도 그 수명을 다하고 보호무역이 힘을 얻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변화의 시기에 한국 사회와 대학은 여전히 철지난 신자유주의, 시장만능주의만을 외치고 있다.

격변의 시기,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으면서 우리를 구속하는 대학 내의 모든 구습과 싸워야 한다. 경쟁 일변도의 신자유주의의 피해들이 더 이상 용인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을 뿐 아니라, 이 기존의 가치들이 더 이상 아무런 대안도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이 싸움은 더욱 절실하다.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커리큘럼, 창의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획일화된 교육방식에는, 대학생을 미래 사회의 주체로 보지 못하는 낙후한 교육관이 근본에 자리하고 있다.

새 사회의 동력을 창출할 수 없는 대학에서는 그 어떤 비전도 찾을 수 없다. 우리 대학생들이 힘과 지혜를 모아서 수업내용과 수업방식에서부터 시작해서 병든 대학 사회의 본격적 수술에 나서야 한다. 전체 대학 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대학생 스스로가 대학의 주인으로 거듭날 준비를 해야 한다.

김예슬 씨는 자보에서 대학과 자본의 거대한 탑에서 자신 몫의 돌멩이가 빠져도 탑은 끄떡없을 것이라 말했다. 그렇다면 이 탑을 반대하는 모든 우리 돌멩이들이 힘을 합쳐 흔들어보자. 그리고 우리들의 새로운 탑을 세우자. 시대는 더 이상 낡은 탑을 거부하고 새로운 탑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과학대학 08 채상원 [☞ 오마이 블로그][☞ 오마이뉴스E 바로가기]- Copyrights ⓒ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